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조회 수 3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잘 죽었다'
소리 안 들으려면
  천당 문을 지킨 지도 꽤 되었는지라 베드로 사도는  슬슬 지루해
지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천당에는  한결같이 착하고  재미없고
고지식한  사람들만 들어오니 누구 하나  말 붙일 사람도 없었습니
다.  그날도 베드로 사도는  천당 문 앞 의자에 걸터앉아 하품을 하
다 졸다를 반복하며 중얼거리고 있었습니다.
   '2000년을 하다보니 이 짓도 이제는 못해먹겠다.'
   그때 문밖에서 시끄러운 소리가 났습니다.  무슨 일인가 싶어 내
다보니 한눈에 보기에도 큰 부상을 당한 사람 몇 명이 서 있고,  저
승사자가  그들을 천당 안으로 들여보내기 위해  등을 떠밀고 있었
습니다.
   "안 들어간다니까 왜 자꾸 등을 떠밀고 그래요?"
   의아하게 여긴 베드로 사도가 물었습니다.
   "다들  천당에 못 들어와서 안달인데  너희는 왜 그러고  서 있느
냐? 심지어 저승사자를 돈으로 매수하거나 개구멍을 찾아 기어 들
어오거나 담을 넘어 오는 놈들도 있는데 너희들은 대체 누구냐?"
   베드로 사도의 물음에 제일 젊은 사람이 나서서 대답했습니다.
   "저희는요  시골 사는 사람들입니더,  69번 버스를 타고  시내 가
던 길에 교통사고로 고마 죽었십니더.  이렇게 일찍 천당에 들어갈
수는 없다 아입니까. 억울합니더."
   "뭐가 그리 억울하냐?  교통사고로  죽은 사람이  어디 한둘이란
말이냐."
   이번에도 젊은 사람이 대답했습니다.
   "저는요,  내일 결혼식을 올리기로 되어 있다 아입니꺼.  근데 오
늘 죽어서  총각귀신이 되었으니  이처럼 억울한 일이 어디 있겠십
니꺼?"
   중년 아주머니도 질세라 말했습니다.
   "지도 억울합니더.  깜빡 졸다 고마 한 정거장 더 가는 바람에 죽
었다 아입니까."
   이번에는 중년 아저씨가 나섰습니다.
   "저는 버스가 떠날라 카는 걸  억지로 붙잡아 탔다가 죽었십니더."
   마지막으로 치매에 걸린 노인이 말했습니다.
   "지가  제일  억울합니더.  택시 탔구마,  알고 보이  버스 아인교."
   "그렇다면 너희들의 죽음에 대해  가족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
먼저 알아봐야겠다.  그런 다음 다시 세상에 돌려보낼지 여부를 결
정하겠다. 내일 보자."
   다음날, 베드로 사도는 네 사람을 불러들였습니다.
   "총각,  너는 집안에서 반대하는  처자랑  결혼하려고 했다면서?
식구들이 잘 죽었다 카든데.  아지매,  매일  밤새도록 화투 치느라
피곤해서 졸다 죽은 거니  돌려보내지 말라고  아지매 남편이 그러
데.  중년 아저씨, 이장 돈 떼먹고 도망가다 죽었다메? 식구들이랑
동네 사람들이랑 다 잘 죽었다 카더만.  제일 나이 많은 어르신, 치
매 때문에 아무 데나 용변봐서 식구들이 힘들었는데,  버스회사에
서 준 보상비 남기고 돌아가셔서 고맙다고들 하는데 어떻하요."
   "-----."
   "말하고 보니  착하지도 않은 사람들이네.  저승사자,  어찌된 일
인가?"
   저승사자가  머리를 긁적이며  기어들어가는 목소리로 말했습니
다.
   "제가 요즘 시력이 너무 안 좋아져서요-----. 96번 버스 승객들
을 데려와야 하는데 그만 69번 버스 승객을-----."
   "안경 하나 맞춰주랴? 쯧쯧.  헌데 이 사람들을 어쩐다?  다시 세
상에 돌려보낼 수도 없고,  기왕에 천당으로 데려왔으니  지옥으로
보낼 수도 없고,  흠.  저승사자, 네가 이 옆에 조립식 건물 하나 지
너놓고 쟤네들 데리고 살아라."
   이렇게 해서  천당 옆에는  '애통당'이 생겼습니다.  잘못 불려온
네 명이 밤마다  "에고, 에고,  내 팔자야" 하고 울어대서 천당 주민
들이 그 조립식 건물에  '애절하게 통곡하는 집,  애통당'이라고 이
름을 붙여주었다는 애통한 이야기입니다.

   죽는다는 말만 들어도 펄쩍 뛰는 이들이 많습니다만,  사람이 평
생  어떻게 살았는가 하는 것은  죽을 때 모양새를 보면  대충 짐작
이 갑니다. 신부들은 상갓집에 자주 갑니다.  초상집인지 잔칫집인
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조문객이 많고,  분위기가 따듯한 집에 가
보면 돌아가신 분의  얼굴이 잠자는 듯  곱고 편안합니다.  반면 입
구에서부터  싸한 기운이 도는 상갓집은  사람도 별로 없는데다 돌
아가신 분의 모습도 험합니다.
   제 기억 속에 가장 곱게 선종하신 분이 있습니다. 봉성체(병자인
교우 또는 미사에 참례하여  성체를 영할 수 없는 처지의 신자에게
사제가 성체를 모셔가 영하여 주는 일)를 위해 찾아가면 늘 단정한
모습으로 맞아주시던 할머니인데,  당신 아픈 것보다  찾아온 손님
걱저을 더 하던 분이었지요. 그분은 정말 주무시는 듯이 곱고 편안
하게 돌아가셨습니다.
   반면 제 동창 신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했습니다. 상갓집에 갔는
데 어찌나  험하게 돌아가셨는지  가족들도 무서워  방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더랍니다.  가족들이 갑자기 등을 떠밀어  방에 들여보내
놓고는  죽은 이의 눈을 감겨달라 하기에 할 수 없이  혼자 방에 들
어가 눈을 감겨주었답니다.  그런데 죽은 이의 모습이 얼마나 험했
던지 무서워서 일주일 동안 잠도 이루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험하지 않게, 모양새 있게 죽을 수 있을까
요?
   임종이 가까워졌을 때 어떤 이는  그동안 못 만났던 사람들을 모
두 만납니다.  용서를 청하고, 화해하고,  가진 것을 나누고 편안한
얼굴로 이 세상을 떠납니다.
   하지만 어떤 이는 죽는 것이 억울해서 식구들 원망하고,  간병하
는 이를 괴롭히고,  주위 사람들을  짜증나게 합니다.  그래서 죽은
후에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서운하고 슬픈 생각도 들지 않게 합니
다.  그런 모습을 보면 대개 사람들은 다들  '저렇게는 살지 말아야
지' 하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편안하게  세상을 떠나는 일이 그리
쉽지는 않지요.
   선종은 평생 자신의 삶을 다듬고 또 다듬은 사람만이 얻을 수 있
습니다. 잘 살아야 잘 죽는다는 뜻입니다.
   또 죽음에 가까워졌을 때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수
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누구나 처음에는 자신이 죽는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억울해하고, 분노하고, 우울해합니다. 하지만 결국은 죽
음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럴 때 마음의 평화를 회복하고, 편안하
게 임종할 수 있습니다.  이 단계를  '최후의 성장기'라고 부릅니다.
이 단계까지 가면 편안한 모습으로 선종할 수 있습니다.
   식구들까지  무서워할 만큼 험한 모습으로 죽지 않으려면  '그놈
참 잘 죽었다' 소리 듣지 않으려면  지금부터 차근차근 대비해두어
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루하루를  제대로  살아야 합니다.
그보다 더 좋은 방법은 없습니다.

   "아름다운 죽음은 아름다운 삶에서 나옵니다.
    죽었을 때 "죽었다니 거 시원하네"라는
    소리 안 나오게 사는 것이 잘 사는 법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0 '시노달리타스'에 관한 세계주교시노드 편람 file 이승우(다니엘) 2023.05.11 24
179 게시판 로고 file 홍보분과 2023.01.09 34
178 [담화] 2022년 그리스도인 일치 주간 이현덕(야고보) 2022.01.18 50
177 주님 세례 축일에 짚어보는 세례대의 의미 file 김미경(라파엘라) 2022.01.13 84
176 차량시간표(주일학교포함) file 우지은소화데레사 2021.05.29 86
175 [ 한사람의생명 ]관련하여, 함께 기도바랍니다 . . file 그레고리오 2019.08.25 77
174 자유계시판 항시 거룩한말만 올라 싫은 소리 한마디 1 한만직 2017.07.23 396
173 Via Dolorosa 김석화마르코 2017.03.27 228
172 '여전히 당신이 그립습니다” 김수환 추기경 선종 8주기 특별기고 - 가톨릭신문 1 이승우(다니엘) 2017.02.09 438
171 [순교자성월 특별기고] ‘순교자의 믿음살이와 살림살이’ - 가톨릭신문 file 이승우(다니엘) 2016.09.01 491
170 Q&A 성모승천, 이것이 궁금합니다 - 가톨릭신문 이승우(다니엘) 2016.08.16 447
169 교황이 아르헨티나 정부의 거액 후원금 거절한 까닭은 이승우(다니엘) 2016.07.04 244
168 행복한 가정의 비결은? 2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6.05 365
167 각자도생은 없다. 프레시안 2 이승우(다니엘) 2016.06.03 327
166 오르카냐와 쟈코포 디 치오네의 성령 강림 file 이승우(다니엘) 2016.05.18 354
165 주님은 어디로 올라가셨나? [주님 승천 대축일 가톨릭신문 기획] file 이승우(다니엘) 2016.05.05 345
164 홈페이지 등록 방법 file 황현섭 2016.05.02 254
163 사랑스런 나의 손주예요 2 file 민근휘야고보 2016.05.01 261
162 주님의 눈을 바라보게 하소서!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4.29 408
161 하느님 편지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4.25 305
160 내영혼 바람되어(세월호 추모곡) 1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4.24 324
159 축하드립니다~^^ 2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4.22 246
158 2년전 오늘 file 이승우(다니엘) 2016.04.16 235
157 살아있다면 내일 투표를 할수있는 천사들을 생각함... file 김석화마르코 2016.04.12 247
156 악법 은 악 이다.... 3 김석화마르코 2016.04.11 322
155 천주교마산교구 용원성당 화이팅! 입니다. ^^ 2 file 루카 2016.04.08 548
154 축하합니다 1 한만직 2016.03.10 328
153 찬미예수님~~~^^ 2 박진현(가브리엘) 2016.03.09 215
152 안녕하세요 이승우 2016.02.24 213
151 행복한 삶 윤기철 2015.06.04 338
150 너는또다른나 윤기철 2015.06.04 237
149 7차 말씀과 함께하는 성경피정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5.04.07 265
148 2015년 명례성지 해돋이 미사 안내 강미옥 젤뚜르다 2014.12.29 312
147 [마산교구청년성서모임] 제6차 어른성경피정 초대합니다.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4.09.29 687
146 내한하실 교황님 말씀! 이현덕(야고보) 2014.06.26 398
145 제4 회 명례특강 안내 김덕곤 요한 2014.05.30 376
144 제3회 명례특강안내 김덕곤 요한 2014.04.28 330
143 5차 말씀과 함께하는 성경피정(신청안내)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4.04.11 368
142 제2회 명례특강안내 김덕곤 요한 2014.04.08 333
141 십자가의 신비 file 이현덕(야고보) 2014.04.02 319
140 성요셉 아버지학교 수료(제13기) file 이현덕(야고보) 2014.03.13 436
139 어느 소나무의 가르침 file 이현덕(야고보) 2014.03.08 451
138 2014년도 제1회 명례특강안내 김덕곤 요한 2014.03.07 390
137 천국문 file 이현덕(야고보) 2014.02.25 435
136 '하느님, 그건 아마 당신일겁니다' file 이현덕(야고보) 2014.02.13 468
135 성 비오 신부님과 묵주기도 교우 2014.01.27 491
134 미사 외에 또 하나의 구원의 비밀 교우 2014.01.27 457
133 2013 년12월27일 마산교구 사제,부제.서품식 민근휘 야고보 2013.12.28 634
132 2014년 해돋이 미사안내 김덕곤 요한 2013.12.10 565
131 웅천-명례 소금길 도보 순례 김덕곤 요한 2013.11.13 5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