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조회 수 2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광야의 그리스도 (1872) 이반 크람스코이

 

이반 크람스코이(Ivan Nikolaevich Kramskoy, 1837-1887)는

1837년 러시아 오스트로고쥬스크 시의회 서기의 아들로 태어났다.

1857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미술 아카데미에 입학해 미술 공부를 시작했다.

1863년에 ‘농노 해방령’과 관련된 황제의 업적으로 할 것을 요구하는

아카데미 졸업 작품 주제에 반발해

다른 13명의 학생과 함께 작품 주제 선정의 자유를 요구했다.

그러나 그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졸업 직전 아카데미에서 나왔다.

스스로 ‘14인의 반란자’라 칭하며 ‘페테르부르크 예술가 조직’을 결성한 이들은

작업실과 주거지를 공유하는 공동체 생활에 들어갔다.

 

1870년 이반 크람스코이는 비평가 스타소프(V.V. Stasov)와 전격적인 합의로

‘러시아 이동전시협회’를 창립하였다.

여기에는 일리야 레핀(Ilya Repine), 바실리 수리코프(Vasily Surikov),

바실리 페로프(Vasily Perov), 이사크 레비탄(Isaak Levitan) 등

19세기 후반의 러시아를 대표하는 화가들이 참여했다.

이 그룹은 러시아의 여러 도시를 이동하면서 전시회를 개최한다는 의미에서

스스로 ‘이동파(移動派)’라는 이름을 붙였다.

몇몇 특수한 사람만을 위한 미술 전시회가 아닌

대중이 함께 미술품을 감상하고 즐기자는 취지로 거의 해마다 개최된 이 전시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이후 러시아 미술의 성격을 결정적으로 규정지었고,

귀족들과 부유한 사람들의 기호를 만족시켜 돈과 명예를 얻는 예술이 아니라

일반 민중의 정서를 반영하는 러시아 예술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는 길을 열었다.

 

크람스코이는 ‘화가는 사회에 대해 도덕적인 의무를 가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그는 러시아의 사회적인 이상과 높은 도덕을 추구했고,

예술의 진실과 아름다움, 도덕과 미적 가치는 상호불가분의 것이라고 보았다.

크람스코이가 1872년에 그린 <광야의 그리스도>

마태오복음 4장 1-11절, 마르코복음 1장 12-13절,

루카복음 4장 1-13절이 그 배경이지만,

전통적인 화가들처럼 예수님의 세 가지 유혹을 형상화하는 표현에서 벗어나

자신의 철학과 도덕적 기준을 담아 이 작품에 접근했으며,

톨스토이는 이 작품을 두고 ‘내가 본 그리스도 중 최고’라고 찬사를 보냈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신 뒤에 성령께서는 곧 예수님을 광야로 내보내셨다.

예수님께서는 광야에서 사십 일 동안 사탄에게 유혹을 받으셨다.

또한 들짐승들과 함께 지내셨는데 천사들이 그분의 시중을 들었다.”(마르 1,12-13)

 

크람스코이는 전통적인 유혹에 대한 교리 해설적 접근이 아니라,

보다 나은 세상을 향해 몸부림치던 러시아 사회 정치적 흐름이 반영된

인본주의 사고방식으로 이 작품에 접근했다.

다른 화가들은 성경이 제시하는 세 가지 유혹을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크람스코이는 하느님의 뜻을 이루기 위해

고뇌하는 인간의 모습으로 예수님을 그렸다.

예수님의 고뇌는 바로 작가가 몸담은 러시아 현실에서 민중들에게

예술을 통해 삶의 방향과 지혜를 제시해야 하는 작가의 고뇌이기도 했다.

 

이른 새벽 동이 트는 시간에 바위투성이 광야에 예수님 홀로 바위에 앉아계신다.

살아 있는 생명은 잡초 하나도 보이지 않는 완전한 돌무더기 황무지이다.

예수님께 확대경을 대고 보면

예수님의 모습을 보고 너무 슬퍼서 가슴이 먹먹하고 숨이 멎어버린다.

그냥 작은 화면의 그림으로 보았을 때는 잘 몰랐는데,

확대 기능을 통해 그리스도의 얼굴과 눈과 손과 발을 보는 순간,

심연을 알 수 없는 고뇌하는 예수님의 깊은 눈동자에 어린 우수에 가슴이 저미고,

꽉 쥐고 있는 두 손과 뼈만 앙상하고 거친 맨발에 목이 메게 된다.

 

예수님은 세상을 구원해야 하는 자기 소명에 대한 깊은 고뇌로

밤을 새워 기도하신 모습이 역력하게 드러나는 초췌하고 피곤한 모습이다.

돌만 가득한 광야는 맨발로 걷기에 너무 힘든 곳이기에 그분의 맨발은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보이지 않는 상태를 묘사하고 있다.

힘줄이 드러나도록 굳게 깍지를 낀 두 손은

너무나도 간절하게 바친 기도의 마무리를 아직도 마치지 못한 상태이다.

그분은 하느님의 뜻에 순종하여 이 세상에 온 하느님의 아들로서

앞으로 자기가 걸어야 할 미지의 길에 대한 깊은 의문과 불안에 찬 모습이다.

먹을 것도 없고 밤의 찬 기운을 피할 곳도 없는 사십 일 동안의 광야 생활은

그분의 얼굴을 핼쑥하게 만들었지만, 그분의 눈빛은 점점 고뇌로 깊어졌다.

지금 세상과 다가올 세상에 대한 새로운 약속을 준비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은 이렇게 고통스러운 일이다.

 

이 작품은 밑바닥에서부터 저며 오는 깊은 고통으로 인해

예수님의 잔인한 슬픔이 진한 감동으로 전해진다.

예수님께서는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해 깊은 명상에 잠겨 있다.

세상의 모든 욕망과 유혹을 떨쳐버리기 위해 광야에서 깊이 내면으로 침잠해 있다.

그분의 모습은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경외심을 느끼게 한다.

소박한 마음이지만 그럴 수만 있다면

예수님께 따뜻한 양말이라도 신겨 드리고 싶고,

어깨에 담요라도 덮어드리고 싶으며,

뜨거운 커피라도 들고 가 한 잔 건네고 싶은 심정이다.

(2020.3.12) https://m.blog.naver.com/sonyh252/221850454467


  1. 삼위일체에 대한 경배 알브레히트 뒤러 [삼위일체 대축일 ep22] 서울대교구 신지철 바오로 신부님 0

  2. 사순제 5주일 강론(교구보) 장민현 테오도로 주임신부님 0

  3. No Image 07Mar
    by 홍보분과
    2025/03/07 by 홍보분과
    Views 238 

    [성경 미술관] 광야의 그리스도 - 손용환 요셉신부 0

  4. No Image 27Feb
    by 홍보분과
    2025/02/27 by 홍보분과
    Views 245 

    [원주교구 들빛주보 : 성경 미술관] 장님을 이끄는 장님 - 손용환 요셉신부 0

  5. ‘말씀이 그림이 되어’... 김만용 작가 성화 개인전 0

  6. 하느님의 말씀 주일 로고(가톨릭신문사) 0

  7. 책속 미술관 [카나의 혼인잔치] 파올로 베로네제(Paolo Veronese, 1528-1588), 1562-63년, 유화, 7×10m, 루브르 박물관(파리). 0

  8. '시노달리타스'에 관한 세계주교시노드 편람 0

  9. 게시판 로고 0

  10. [담화] 2022년 그리스도인 일치 주간 0

  11. 주님 세례 축일에 짚어보는 세례대의 의미 0

  12. 차량시간표(주일학교포함) 0

  13. [ 한사람의생명 ]관련하여, 함께 기도바랍니다 . . 0

  14. 자유계시판 항시 거룩한말만 올라 싫은 소리 한마디 1

  15. No Image 27Mar
    by 김석화마르코
    2017/03/27 by 김석화마르코
    Views 373 

    Via Dolorosa 0

  16. '여전히 당신이 그립습니다” 김수환 추기경 선종 8주기 특별기고 - 가톨릭신문 1

  17. [순교자성월 특별기고] ‘순교자의 믿음살이와 살림살이’ - 가톨릭신문 0

  18. Q&A 성모승천, 이것이 궁금합니다 - 가톨릭신문 0

  19. No Image 04Jul
    by 이승우(다니엘)
    2016/07/04 by 이승우(다니엘)
    Views 400 

    교황이 아르헨티나 정부의 거액 후원금 거절한 까닭은 0

  20. 행복한 가정의 비결은? 2

  21. No Image 03Jun
    by 이승우(다니엘)
    2016/06/03 by 이승우(다니엘)
    Views 598  Replies 2

    각자도생은 없다. 프레시안 2

  22. 오르카냐와 쟈코포 디 치오네의 성령 강림 0

  23. 주님은 어디로 올라가셨나? [주님 승천 대축일 가톨릭신문 기획] 0

  24. 홈페이지 등록 방법 0

  25. 사랑스런 나의 손주예요 2

  26. 주님의 눈을 바라보게 하소서! 0

  27. 하느님 편지 0

  28. 내영혼 바람되어(세월호 추모곡) 1

  29. 축하드립니다~^^ 2

  30. 2년전 오늘 0

  31. 살아있다면 내일 투표를 할수있는 천사들을 생각함... 0

  32. 악법 은 악 이다.... 3

  33. 천주교마산교구 용원성당 화이팅! 입니다. ^^ 2

  34. 축하합니다 1

  35. No Image 09Mar
    by 박진현(가브리엘)
    2016/03/09 by 박진현(가브리엘)
    Views 383  Replies 2

    찬미예수님~~~^^ 2

  36. No Image 24Feb
    by 이승우
    2016/02/24 by 이승우
    Views 434 

    안녕하세요 0

  37. No Image 04Jun
    by 윤기철
    2015/06/04 by 윤기철
    Views 515 

    행복한 삶 0

  38. No Image 04Jun
    by 윤기철
    2015/06/04 by 윤기철
    Views 393 

    너는또다른나 0

  39. No Image 07Apr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5/04/07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Views 486 

    7차 말씀과 함께하는 성경피정 0

  40. No Image 29Dec
    by 강미옥 젤뚜르다
    2014/12/29 by 강미옥 젤뚜르다
    Views 490 

    2015년 명례성지 해돋이 미사 안내 0

  41. No Image 29Sep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4/09/29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Views 898 

    [마산교구청년성서모임] 제6차 어른성경피정 초대합니다. 0

  42. No Image 26Jun
    by 이현덕(야고보)
    2014/06/26 by 이현덕(야고보)
    Views 570 

    내한하실 교황님 말씀! 0

  43. No Image 30May
    by 김덕곤 요한
    2014/05/30 by 김덕곤 요한
    Views 548 

    제4 회 명례특강 안내 0

  44. No Image 28Apr
    by 김덕곤 요한
    2014/04/28 by 김덕곤 요한
    Views 570 

    제3회 명례특강안내 0

  45. No Image 11Apr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4/04/11 by 마산청년성서모임(에파타)
    Views 554 

    5차 말씀과 함께하는 성경피정(신청안내) 0

  46. No Image 08Apr
    by 김덕곤 요한
    2014/04/08 by 김덕곤 요한
    Views 527 

    제2회 명례특강안내 0

  47. 십자가의 신비 0

  48. 성요셉 아버지학교 수료(제13기) 0

  49. 어느 소나무의 가르침 0

  50. No Image 07Mar
    by 김덕곤 요한
    2014/03/07 by 김덕곤 요한
    Views 608 

    2014년도 제1회 명례특강안내 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