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아이디는 등록된
'본인의 메일주소'를 입력하세요.
로그인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untitled.png

 

 
한국교회의 정신적 뿌리는 신앙선조들이 감행했던 순교라는 사건에 있다. 조선왕조 사회에서 천주교를 신앙한다는 일은 목숨을 거는 모험이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고 새로운 신앙인 천주교로 그 믿음과 삶의 형식을 바꾸어 갔다. 즉, 그들의 신앙은 사상의 전환에 그치지 않았다. 새로운 신앙은 그들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서 일대 전환을 단행하도록 그들을 격려하고 있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목숨을 가장 소중하게 여긴다. 목숨은 자신의 존재와 비존재를 가름하는 기준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순교자들은 자신의 신앙에 목숨을 걸었다. 이는 신앙이 목숨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결과였다. 이처럼 신앙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신앙은 그들이 자신의 목숨을 걸어도 아깝지 않을 소중한 것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신앙을 가지고 자신의 전 생애를 바꾸어갔다.

우리 교회는 이 순교자들 가운데 일부를 성인이나 복자로 모시고 있다. 순교자의 시성시복을 위한 우리 교회의 노력은 이미 19세기 중엽부터 시작되고 있었다. 당시에는 시성시복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그가 신앙을 위해서 죽었는가를 밝히는 작업을 들었다. 그래서 순교의 기준을 명확히 제시해주었다. 즉,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때문에 반드시 죽어야 했고, 그 죽음이 그리스도교에 대한 증오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어야 했다. 그리고 순교자가 그 죽음을 자발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아 놓았다.

이러한 교회법적 규정을 살펴보면 순교의 개념이 믿음과 죽음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지난날 순교자에 대한 규정에서는 순교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굳은 신앙을 들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몇몇 특별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다고 하여 죽음을 당하지 않는다. 이 상황에서 믿음으로 인한 죽음만을 강조하던 종전의 순교개념은 신자들의 일상생활과 무관한 존재로 변질되어 갔다. 순교에 대한 기존의 개념은 순교자들을 우리 평범한 신자들과는 다른 특이한 존재로 만들어 갔다. 이 과정을 통해서 순교자는 점차 우리에게 타자화(他者化)되어 갔다.

그러나 현대 교회에서는 순교자를 타자화시켜온 데에 대해서 스스로 반성하고 이를 바로 잡아갔다. 즉 순교의 핵심인 믿음을 넓은 의미로 규정하게 되었고, 믿음을 더욱 구체적으로 해석하게 되었다. 즉, 오늘의 교회는 신앙이 사랑을 통해서 표현되며, 사랑이 없으면 믿음도 소용이 없다는 가르침을 새롭게 주목했다. 이 때문에 믿음의 실체는 그리스도교의 가르침을 생활화했던 데에서 찾아야 된다고 보았다.

발터 카스퍼 추기경은 오늘날의 순교 개념을 규정하면서 “그리스도교적인 동기에서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를 위해, 자유를 위해, 그리고 정의를 위해 투신하고 목숨을 바치는 것 또한 순교”라고 말한 바 있다. 즉, 종전에는 믿음을 증거하는 죽음만을 순교로 보았지만, 카스퍼 추기경은 이웃에 대한 사랑을 곧 믿음의 또 다른 측면으로 보라고 했다. 그 결과 순교의 개념은 이제 믿음만을 생각하던 단계로부터 사랑이라는 구체적 삶의 단계로까지 확대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서 이웃을 대신하여 죽음을 택했던 막시밀리아노 마리아 콜베 신부는 사랑의 순교자라는 이름으로 시성되었다. 그리고 독일 주교단의 건의에 따라 교황청에서는 나치의 강제수용소에서 이웃을 위해 죽음을 선택했던 2명의 루터교 신자들까지도 순교복자 품에 올릴 수 있었다. 이는 신앙의 순수성만이 시성시복의 기준이 되었던 지난날과는 전혀 다른 풍경이었다. 그들도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했던 그리스도인으로 인정되기 때문이었다.

오늘의 우리는 지난날 이 땅에서 전개된 순교자들의 믿음과 삶을 새롭게 조명해야 한다. 그들은 굳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음은 틀림없다. 그러나 그 믿음은 그들의 삶을 사랑으로 바꾸어놓았음도 잊어서는 안 된다. 우리는 박해시대 순교자들이 믿음의 구체적 실천을 위해서 사랑을 실천했던 사례는 매우 풍부하다. 순교자들은 모든 사람들은 하느님의 자녀로 평등하다는 가르침을 실천했다. 그래서 그들은 사랑 때문에 자신의 특권적 신분을 포기했다. 그리고 종이나 소작인들, 백정과 같은 미천한 존재들과 자신이 평등한 인간임을 생활을 통해 실천했다. 이는 오늘의 신자들도 깊이 음미해볼만한 일이다.

19세기 전반기 경상도에서 전개된 박해의 과정에서 감옥에 잡혀들어 온 신자들이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을 밀고했던 전지수라는 배교자가 어떤 사건으로 감옥에 들어오자 굶겨죽이기로 작정되었던 그를 먹여 살려주었다. 그 후 전지수가 벌거벗겨져 감옥에서 쫓겨나가자 그를 입혀 내보냈다. 이러한 사랑으로 박해시대의 신자들은 그리스도인들이 감행하는 ‘복수’의 실체를 드러내 주었다. 이렇게 순교자들이 남긴 사랑은 그들의 믿음살이가 살림살이를 변동시켰음을 알려준다. 오늘의 우리는 순교자의 믿음과 함께 그 믿음의 구체적 측면이었던 사랑을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

조광(고려대 한국사학과 명예교수)274694_5110_1.jpg

 

 

 

http://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27469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0 반갑습니다. 4 박현중(세례자요한) 2010.10.31 757
79 반갑습니다. 1 박현중(세례자요한) 2011.10.01 666
78 미사와 천사들 신심 2012.11.16 330
77 미사 외에 또 하나의 구원의 비밀 교우 2014.01.27 457
76 묵주기도의 성인들 신심 2012.08.23 348
75 묵주기도/성체조배/성시간 신심 2012.08.23 537
74 묵주기도 이야기 신심 2012.08.23 311
73 몽포르의 루도비코 성인의 저서 <묵주기도의 비밀> file 신심 2012.10.11 482
72 모세오경의 개요 (3편) 나연채 2012.04.30 626
71 모세오경의 개요 (2편) 나연채 2012.04.30 573
70 모세오경의 개요 나연채 2012.04.30 940
69 말씀묵상 3 2 일미나 2011.01.26 597
68 말씀묵상 2 일미나 2011.01.25 613
67 말씀과 함께하는『성경피정』참여안내 file 청년성서모임에파타 2012.09.14 471
66 만남 나연채 2012.06.09 418
65 대중을 위한 메시지 (하나되신 성심의 메세지) 교우 2013.05.04 531
64 당신과 이야기 나누는 법을 가르쳐 주십시오 이현덕(야고보) 2011.03.05 969
63 누구에게나 주에기도를.... 신심 2013.01.05 309
62 너는또다른나 윤기철 2015.06.04 237
61 내한하실 교황님 말씀! 이현덕(야고보) 2014.06.26 398
60 내영혼 바람되어(세월호 추모곡) 1 file 이현덕(야고보) 2016.04.24 324
59 내님의 사랑은 / 故 이태석 신부님의 노래 2 이현덕(야고보) 2011.06.26 1038
58 내 작은 이 행복 이현덕(야고보) 2011.09.07 648
57 낫기를 원하느냐? 이현덕(야고보) 2011.01.27 937
56 김수환 추기경의 말씀 묵상 3 일미나 2011.01.21 524
55 그리스도인이라 말할 때에는 2 이현덕(야고보) 2011.01.05 691
54 그레고리안 성가...수도원 생활 1 file 김석화 마르코 2013.06.20 597
53 그 분의 현존 1 이현덕(야고보) 2011.01.07 786
52 교황이 아르헨티나 정부의 거액 후원금 거절한 까닭은 이승우(다니엘) 2016.07.04 244
51 고통을 감내하라 나연채 2012.04.24 443
50 고별 노래 1 민근휘 야고보 2010.10.08 730
49 게시판 로고 file 홍보분과 2023.01.09 34
48 각자도생은 없다. 프레시안 2 이승우(다니엘) 2016.06.03 327
47 가톨릭 신자의 상징, 묵주 이현덕(야고보) 2011.10.01 787
46 가족캠프 동영상입니다 민박기(야고보) 2011.08.13 757
45 가족캠프 단체 율동 동영상 1 강재모(마르티노) 2011.07.30 753
44 가족 캠프시 단체 율동 2 강재모(마르티노) 2011.07.30 833
43 가난한 새의 노래 이현덕(야고보) 2011.04.16 763
42 가 난 / 카를로 카레토 이현덕(야고보) 2011.03.09 873
41 ♬님의 뜻이 이현덕(야고보) 2011.07.02 601
40 †찬미예수님 ♧환영합니다 이현덕 2010.06.04 2011
39 † 국민학교 아이들, 어린이들에게 주의기도를 가르쳐라 교우 2012.12.27 530
38 [카탈리나 리바스] 거룩한 미사 성제 신심 2012.08.23 341
37 [정구사 촛불미사] 하춘수 레오신부님 강론(2) file 강재모(마르티노) 2013.10.06 688
36 [정구사 촛불미사] 하춘수 레오신부님 강론(1) file 강재모(마르티노) 2013.10.06 691
35 [연옥 영혼의 놀라운 비밀] 마리아 심마와의 인터뷰 1 신심 2012.08.23 755
34 [연옥 영혼의 놀라운 비밀] 마리아 심마와의 인터뷰 신심 2012.08.23 563
33 [아들들아 용기를 내어라] 中 연옥 영혼의 조언 신심 2012.08.23 347
32 [아들들아 용기를 내어라] '마리아를 미워하는 이유' 신심 2012.08.23 447
» [순교자성월 특별기고] ‘순교자의 믿음살이와 살림살이’ - 가톨릭신문 file 이승우(다니엘) 2016.09.01 49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